1012 데이터베이스 정리



* JOIN : 2개 이상 테이블 데이터 조회할 때 사용

    * 교집합 테이블 있어야 함!

1. INNER JOIN
2. SELF JOIN : 본인 테이블을 한번 더 조인
    ```SQL
    SELECT 컬럼이름
    FROM 테이블이름 AS X
    INNER JOIN 테이블이름 S Y -- JOIN할 대상 테이블
    ON X.컬럼=Y.컬럼 --교집합 데이터가 같다면 조인한다.
    ```
3. LEFT, RIGHT JOIN
    교집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아닌 데이터를 조인
    - INNER 자리에 LEFT, RIGHT를 넣어준다
    - JOIN 자리를 기준으로 왼쪽에 위치한 데이터를 조인하고 싶다면 LEFT,
     
        오른쪽에 위치한 데이터를 조인하고 싶다면 RIGHT를 사용한다.
       
     예)
    - 사원이 없는 부서 조회
       
        Select
            d.deptno,
            d.dname,
            d.loc
        From dept As d left join emp As e
        On e.deptno = d.deptno Where e.empno Is null
       

*  truncate

    테이블 안에 있는 데이터를 모두 지우고 싶다면 delete가 아니라 truncate를 사용해야 한다.
   
    truncate table 테이블명    
   
    * delete와의 차이점?
        delete도 실행시, 테이블에 있는 데이터가 모두 삭제되기에  where을 사용해서 모든 행이 삭제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
       
        그러나 truncate 사용시에는 테이블 자체가 한번에 없어지는 것과는 달리, delete 사용시 테이블 내의 컬럼이 한줄 한줄 지워진다고 볼 수 있다.
       
        delete * from 테이블명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JAVA_Collection

JAVA_Collection2